Lined Notebook

강원국의 글쓰기 를 읽고

by Understand

글을 써야지 하고 계획을 한다.

하지만 막상 글을 쓰려고 하면 망설여진다.

왜 글을 쓰는 것은 어려울까?

 

## 선뜻 시작하기 어려울 때

우리 뇌는 예측 불가하고 모호한 것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글쓰기는 불확실하다. 정답이 없다. 그리고 언제 끝날지 모른다. 또한 글쓰기는 결정된 것이 없다. 어떤 생각을 써야 할지, 어떤 어휘를 사용해야 할지, 핵심 메시지는 무엇이고 어떻게 문장을 구성해야 할지 등  선택해야 할 것이 많다. 이런 불확실성은 우리에게 두려움으로 다가온다. 그리고 이 두려움은 첫 단어를 작성할 때부터 마지막 온점을 찍을 때까지 우리를 괴롭힌다.

많은 글쓰기 책에서 두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매일 글을 쓰는 것을 추천한다.
잘쓰는 것보다 일단 글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 매일 일정 분량 씩 글을 쓰다 보면 익숙해지고, 개선점을 찾게 된다.
매일 글을 쓰다보면 습관이 된다. 글 쓰는 습관이 생긴다면 언제든지 글쓰기를 선뜻 시작할 수 있다. 그러다 보면 글을 시작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옅어진다.
매일 글을 쓸 때 한가지 팁은 글 쓰는 환경을 항상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다.
항상 같은 환경에서 글을 쓰면 뇌는 글 쓰는 환경을 만나면 자연스럽게 글 쓰는 모드로 들어간다. 그전까지는 힘들고 피곤할지라도 글을 쓸 수 있게 된다.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는 또다른 방법은 글을 쓸 때 욕심을 줄이는 것이다.

욕심이 많으면 그만큼 선택할것이 많고 두려움은 커진다.

 

글 쓸 때는 다음과 같은 욕심을 줄여야 한다.

먼저 자료에 대한 욕심이다.
자료를 찾는 것에 대한 욕심을 줄여야 한다. 자료는 끝이 없다. 타협할 지점을 미리 정하고 찾아야 한다.
또한 글을 쓸 때는 찾은 자료를 버릴 줄도 알아야 한다. 찾아놓은 자료가 아까워 어떻게든 쑤셔 넣다 보면 글은 누더기 같아진다.

표현의 욕심도 줄여야 한다.
이것도 안다, 저것도 안다는 식으로 글을 쓰게 되면 핵심 메세지가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적절한 지식을 추가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잘보이고 싶은 욕심도 줄여야 한다.
결국 우리는 현재 상태를 받아들여야 한다.
지적받을 수 있지만 그것이 현재 나의 실력이다. 이를 바탕으로 개선하면 되는 것이다.
욕심을 줄이고 현재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쓰다 보면 점차 개선될 것이다.
톨스토이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가난의 고통을 없애는 방법은 두 가지다. 재산을 늘리거나 욕망을 줄이는 것

 

글쓰기 또한 똑같다. 글쓰기의 고통을 없애는 방법은 두 가지다. 실력을 늘리거나 욕망을 줄이는 것
실력을 당장 늘릴수 없으니 일단 욕망을 줄여야 한다.

---

 

## 창의성


창의성은 글 쓰는 사람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이다.
창의성은 어떻게 키울까?
창의성은 언제 발휘 될까?

창의성은 연결이다.
창의란 남의 생각에 자기 의견을 붙일 줄 아는 것이다.
다른 개념들을 연상, 추론, 가정, 비교 등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창의성을 발휘된다.
이를 설명한 개념이 이연현상이다. 이연현상이란 서로 관련 없는 두 가지 사실이나 아이디어를 하나의 아이디어로 통합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생각이 폭발적으로 일어난 현상을 말한다. 이연현상이 발생하려면 뚜렷한 문제, 풍부한 경험과 지식 그리고 시간이 필요하다.

문제는 관찰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관찰에도 단계가 있다.
1단계는 묘사다. 눈에 보이는 것을 그대로 글로 옮기는 것이다.
2단계는 감상이다. 눈에 보이는 것에 대한 나의 생각을 쓰는 것이다.
3단계는 분석이다. 나름의 시각과 관점, 해석, 해법등을 추가한다.
4단계는 비판이다. 내 주관과 기준으로 시시비비를 가리는 것이다.
5단계는 성찰이다. 나에 대해 객관적으로 보는 것이다. 성찰에서부터 양심과 정의감이 나온다.
6단계는 창조이다. 없던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우리가 보고 느끼는 것 그 너머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경험과 지식은 4 가지 도구로 얻을 수 있다.
첫째는 독서다. 독서란 책을 통해 남의 생각을 빌려 자기 생각을 만드는 과정이다. 책을 읽기 전 저자의 생각을 가늠해 보고 거기에 대한 같은 주제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정리해 보자. 책을 읽을 때마다 저자가 말하려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내 생각은 어떻게 변했는지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는 토론이다. 말을 하면 생각이 정리된다.
셋째는 학습이다. 
마지막은 메모다. 흘러가는 생각을 잡아두면 더 생각하게 된다.

 

## 좋은 글이란

좋은 글에 대한 여러 가지 기준이 있다. 책에서는 다양한 7가지 기준과 그것을 기르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첫 째는 구성 능력이다. 글의 구성요소는 분화될수록 좋다. 구성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쓰고자 하는 종류의 글을 쓴 다른 사람의 글을 20~30편을 출력해 구성요소를 파악하는 것이다.

둘 째는 어휘력이다. 다양한 어휘를 사용해야 한다. 어휘를 아는 것은 그 의미와 뉘앙스의 차이를 아는 것이다. 어휘력을 키우는 방법은 한 단어의 어원, 유의어, 반의어 등 다양한 관계를 찾아보는 것이다. 그리고 국어사전을 가까이하며 글을 읽을 때 어휘를 유념해서 읽는 것이 좋다.

셋 째는 문장력이다. 핵심 메시지가 잘 드러나도록 쓰고, 다양한 방식으로 문장을 구성하는 것이 좋다. 핵심 메시지가 잘 드러나려면 문장이 짧아야 하고, 수식어를 절제하고 피동문을 피해야 하며 주어를 잘 사용해야 한다. 또한 문장 성분 간 호응도 생각해야 한다. 이러한 문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문장을 소리 내서 읽어보고 고쳐보거나 다른 사람의 글을 필사하는 것을 추천한다.

넷 째는 표현력이다. 표현력은 같은 상황을 다르게 표현하는 능력이다. 이는 다양한 서술어를 활용하고 수사법을 잘 활용하는 것이다. 이 부분을 어떻게 키우는지 설명하고 있진 않지만 문장력과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다섯 째는 문법이다. 문법에 맞게 작성하는 것이 글의 가독성 측면에서도, 메시지를 전달하는 측면에서도 도움이 된다. 문법을 기르는 것은 따로 공부하는 것도 좋지만 글을 쓰다 보면 익숙해진다고 한다.

여섯 쨰는 묘사이다. 오감을 사용한 내용과 자신만의 글의 리듬을 찾아야 한다고 한다.

마지막 일곱 째는 스토리텔링이다. 어떤 내용을 전달할지에 대한 선택과 이야기의 내용을 배열하는 것에 대한 역량이다. 전달해야 할 내용은 목적이 뚜렷이 있어야 한다. 이 부분도 다른 사람의 글을 분석하며 배워갈 수 있다고 한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회없음을 읽고  (0) 2024.01.28
팀장의 탄생을 읽고  (0) 2024.01.16
일 잘하는 사람은 단순하게 말합니다 / 일 잘하는 사람은 단순하게 합니다.  (0) 2021.12.11
커리어스킬  (0) 2021.07.20
리바이어던 (1)  (0) 2020.04.14

블로그의 정보

BookStoreDiary

Understand

활동하기